보안을 꿈꾸는 학생
이번 강의는 그냥 참고만 하셔도 되는 강의입니다.그래도 한 번 보고 소스도 작성해보시길 바랍니다. printf함수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입니다.C언어는 큰 따옴표를 사용해서 문자열을 표현합니다. 따라서 큰 따옴표안에 묶인 문자열을 전달하여 printf함수를 호출하면, 전달된 문자열을 모니터상에 출력이 됩니다. #include int main(void) { printf("Hello? \n"); printf("My name is JaeHoon \n"); printf("Nice to meet you! \n"); return 0; } 위 코드에서 \n문자가 삽입되었는데 전에 배웠었죠? 얘를 특수문자라고 한다는 것을요.말 그대로 일반 문자의 의미가 아닌 특수한 의미를 담고있는 문자입니다. 특수문자는 작은 따옴표..
저번 강의를 이어서 이번에는 '형 변환'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char형이나 int형으로 선언된 변수를 double형으로 바꿀수는 없을까요? 가능합니다.그리고 이것이 자료형의 변환입니다. 자료형 변환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종류로 나뉩니다. -자동 형 변환(묵시적 형 변환)-강제 형 변환(명시적 형 변환) 말 그대로 자동 형 변환은 자동으로 형 변환이 이루어 지는 것이고, 강제 형 변환은 강제로 형 변환이 이루어 지는 것을 말합니다. 자동 형 변환은 대입연산에 의해 발생하는 형 변환과, 정수의 승격에 의한 형 변환, 마지막으로 피연산자의 자료형 불일치로 인한 형 변환이 있습니다. 먼저 대입연산에 의해 발생하는 형 변환부터 봅시다. 대입 연산자는 왼쪽과 오른쪽에 존재하는 두 피연산자의 자료형이 일치하지 않..
정말 오랜만 입니다.일주일만 쉬기로 했는데 시험이 끝나고 정보올림피아드를 준비하느라 한 주 더 미뤄지게 됬습니다. 오늘은 상수와 형 변환에 대해 알아볼 겁니다.상수, 수학시간에 많이 들어보셨죠?크게 변수와 상수의 차이점을 보면 변수는 값의 변경이 가능한 녀석(?)이고 상수는 값의 변경이 불가능한 녀석입니다.상수역시 앞서 배운 int나 double같은 자료형에 의해 표현됩니다. 상수는 크게 이름을 지니지 않는 리터럴(Literal) 상수와 이름을 지니는 심볼릭(Symbolic) 상수로 나뉩니다.먼저 리터럴 상수먼저 봅시다. 리터럴 상수는 이름이 없는 상수라고 했습니다. 이름이 없다는게 대체 무슨 소리일까요??다음 코드를 봅시다. int main(void) { int num = 10 + 20; . . . ...